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내 코인을 다른 블록체인으로? 브릿지(Bridge)

by useful-info-hub 2025. 8. 29.

내 코인을 다른 블록체인으로? 브릿지(Bridge)

 

안녕하세요, 블록체인 기술에 깊은 관심을 가진 블로거입니다. 오늘은 '블록체인 브릿지(Bridge)'라는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혹시 이런 고민을 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나는 이더리움 코인을 가지고 있는데, 이걸로 솔라나 기반의 게임을 하고 싶어! 그런데 어떻게 옮겨야 하지?"

 

이것은 마치 미국 달러를 가지고 있는데, 일본 여행에 가서 그대로 사용하고 싶어 하는 것과 같습니다. 서로 다른 경제 시스템과 통화를 가진 두 나라 사이에서는 직접적인 거래가 불가능하죠. 블록체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더리움과 솔라나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이며, 각자 고유의 규칙과 통화를 가지고 있기에 직접적인 호환이 불가능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브릿지'입니다. 마치 바다를 가로지르는 다리처럼,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해주는 기술이죠.오늘은 이 브릿지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왜 꼭 필요한 존재인지 함께 알아봅시다.

 

1. 비유로 이해하는 블록체인 브릿지

블록체인 브릿지의 작동 원리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여러분이 미국 달러(ETH)를 가지고 일본(SOL)에서 사용하고 싶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때 여러분은 국경 검문소(브릿지)를 찾아갑니다.

  1. 환전소에 달러(ETH)를 맡깁니다. (브릿지 스마트 컨트랙트에 이더리움을 보냅니다.)
  2. 환전소는 여러분의 달러(ETH)를 금고에 안전하게 보관합니다. (브릿지 컨트랙트가 여러분의 ETH를 잠급니다.)
  3. 환전소는 금고에 달러(ETH)를 받았다는 증거로 엔화와 동일한 가치의 상품권(wETH)을 발행해 줍니다. (브릿지가 솔라나 네트워크에 '랩핑된 이더리움(wETH)' 토큰을 새로 생성합니다.)
  4. 이제 여러분은 일본(SOL)에서 이 상품권(wETH)을 사용해 자유롭게 쇼핑(거래)을 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한국(ETH)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반대 과정을 거칩니다. 상품권(wETH)을 환전소에 반납하면, 환전소는 금고에 보관했던 달러(ETH)를 다시 돌려줍니다.

이처럼 브릿지는 '자산을 한쪽 블록체인에 잠그고, 다른 쪽 블록체인에서 그 자산의 가치를 나타내는 새로운 토큰을 발행'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2. 브릿지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이러한 작동 원리를 기술적으로는 '잠금(Lock)'과 '생성(Mint)' 모델이라고 합니다.

  1. 잠금(Lock): 사용자가 이더리움(ETH)을 솔라나(SOL)로 옮기려 할 때, 먼저 ETH를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금고)'에 잠급니다. 이 ETH는 브릿지 시스템이 허락하지 않는 한 절대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
  2. 생성(Mint): 브릿지 시스템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ETH가 성공적으로 잠긴 것을 감지합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솔라나 블록체인에 잠긴 ETH와 1:1 가치로 연결되는 새로운 토큰('랩핑된 이더리움' 또는 wETH)을 생성(Mint)합니다.

이 wETH는 이제 솔라나 블록체인의 규칙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wETH를 다시 ETH로 바꾸고 싶다면, 솔라나에서 wETH를 소각(Burn)하고,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원래 잠겨있던 ETH를 다시 돌려받는 '소각(Burn) 및 잠금 해제(Unlock)' 과정을 거칩니다.

 

3. 브릿지의 종류: 중앙화와 탈중앙화

브릿지 역시 DEX(탈중앙화 거래소)처럼 중앙화와 탈중앙화 방식으로 나뉩니다.

  • 중앙화 브릿지(Centralized Bridge):
    • 운영 주체가 특정 회사나 단체입니다. 마치 은행처럼 여러분의 자산을 관리하고 거래를 중개합니다.
    • 운영자: 바이낸스(Binance), 코인베이스(Coinbase)
    • 장점: 사용하기 매우 간편하고 빠릅니다.
    • 단점: 신뢰가 핵심이며, 중앙 주체가 해킹되거나 악의적인 의도를 가질 경우 자산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 탈중앙화 브릿지(Decentralized Bridge):
    • 특정 주체가 아닌, 여러 검증자나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운영됩니다.
    • 운영자: 웜홀(Wormhole), 스타게이트(Stargate) 
    • 장점: 중앙화 브릿지보다 훨씬 안전하고 검열에 강합니다.
    • 단점: 거래가 느릴 수 있고, 사용하기 복잡하며, 시스템 자체에 버그가 있을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4. 브릿지의 가장 큰 위험, 보안 문제

브릿지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의 가상자산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에, 거대한 가상자산이 한곳에 모여 있는 '가장 큰 해킹 목표물'이 됩니다. 마치 모든 보물이 모여있는 거대한 금고와 같죠.

실제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해킹 사건 중 상당수가 브릿지에서 발생했습니다.

  • 로닌 브릿지(Ronin Bridge) 해킹 사건 (2022년):
    • 블록체인 게임 '엑시 인피니티'의 로닌 네트워크 브릿지에서 발생한 사건입니다. 해커들이 브릿지 운영에 참여하는 검증자의 개인 키를 탈취하여 6억 달러(약 8,000억 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도난당했습니다. 이는 블록체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해킹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중앙화된 검증자 시스템의 취약성을 극명하게 보여주었습니다.
  • 웜홀 브릿지(Wormhole Bridge) 해킹 사건 (2022년):
    • 이더리움과 솔라나를 연결하는 웜홀 브릿지에서 발생한 사건입니다. 해커들은 스마트 컨트랙트의 취약점을 이용3억 2천만 달러(약 4,200억 원) 상당의 자산을 탈취했습니다. 이 사건은 브릿지가 코드의 오류(버그)로 인해 얼마나 위험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브릿지가 블록체인 생태계에 꼭 필요한 존재이지만, 동시에 가장 큰 보안 위험을 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5. 대표적인 랩핑(Wrapped) 토큰의 종류

원래 코인 (Original Coin) 대상 체인 (Target Chain) 랩핑 토큰 (Wrapped Token)
비트코인 (BTC) 이더리움 (ETH) wBTC (ERC-20 표준)
솔라나 (SOL) 이더리움 (ETH) wSOL (ERC-20 표준)
이더리움 (ETH) 솔라나 (SOL) wETH (솔라나 체인)
아톰 (ATOM) 이더리움 (ETH) wATOM (ERC-20 표준)
리플 (XRP) 이더리움 (ETH) wXRP (ERC-20 표준)
USDT (ERC-20) 솔라나 (SOL) USDT (솔라나 체인)

 

결론: 블록체인 생태계를 잇는 필수 인프라

브릿지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들이 마치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처럼 연결될 수 있게 해주는 필수적인 인프라입니다. '잠금'과 '생성'이라는 간단한 원리를 통해 자산을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블록체인 간의 장벽을 허물어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편리함 뒤에는 해커들의 주된 표적이 되는 거대한 보안 위험이 존재합니다.


[Q&A]

Q1: 브릿지를 이용할 때 어떤 수수료가 발생하나요?

A1: 브릿지를 이용할 때는 여러 종류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먼저, 출발하는 블록체인의 거래 수수료(가스비)를 내야 하고, 브릿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별도의 수수료도 발생합니다.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블록체인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해당 체인의 거래 수수료도 내야 합니다.

 

Q2: 브릿지 말고 다른 방법으로 코인을 옮길 수는 없나요?

A2: 네, 가장 일반적인 다른 방법은 중앙화 거래소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을 바이낸스로 보낸 뒤 바이낸스 내에서 솔라나로 바꾼 후, 솔라나 네트워크로 출금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편리하지만, 코인이 중앙화 거래소에 있는 동안 잠시 여러분의 소유권을 포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Q3: 브릿지를 사용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A3: 보안이 가장 중요합니다. 브릿지 해킹 사고는 생각보다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브릿지를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공식 웹사이트인지 주소를 확인하고, 공신력이 높고 오랫동안 사용된 유명한 브릿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브릿지를 통해 큰 금액을 이동시키기 전에는 소액으로 먼저 테스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