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Web 3.0, 다음 '텐버거'는 여기 있다! DeFi, P2E, DePIN 분야별 최고 유망주 심층 해부

by useful-info-hub 2025. 10. 13.

Web 3.0, 다음 '텐버거'는 여기 있다! DeFi, P2E, DePIN 분야별 최고 유망주 심층 해부

 

안녕하세요, 블록체인 기술에 깊은 관심을 가진 블로거입니다. 오늘은 웹 3.0(Web 3.0) 시대의 서막을 열고 있는 가장 핫하고 흥미로운 프로젝트 3가지를 엄선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혹시 여러분은 "웹 3.0이 대체 뭔데, 블록체인 다음 혁명이라고 난리일까?" 혹은 "다음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세상을 바꿀 프로젝트는 무엇일까?"라는 궁금증을 가져본 적 없으신가요?

 

웹 3.0은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와 자산을 소유하는 탈중앙화된 인터넷을 의미합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구글, 페이스북, 네이버 같은 웹 2.0 서비스는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독점하지만, 웹 3.0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권한이 되돌아옵니다. 2025년 현재, 이 혁명을 주도하는 프로젝트들은 단순한 코인 투자를 넘어, 새로운 산업 표준돈을 버는 새로운 방식(Earn-to-Own)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는 오늘 탈중앙화 금융(DeFi), 게임/메타버스(Gaming/Metaverse), 그리고 분산형 인프라(DePIN)라는 세 가지 핵심 영역에서 가장 혁신적인 잠재력을 가진 프로젝트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왜 미래 가치가 높은지 쉽고 재미있게 해부해 보겠습니다. 이 프로젝트들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다가올 웹 3.0 시대의 기회를 선점하는 핵심 열쇠가 될 것입니다. 지금부터 함께 웹 3.0 혁명의 최전선으로 떠나봅시다!

 

1. 첫 번째 혁명: 탈중앙화 금융(DeFi)의 새로운 표준, [Aave]

탈중앙화 금융, 즉 DeFi는 은행 같은 중개자 없이 블록체인 위에서 대출, 예금, 교환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3.0의 근간입니다. 그중 Aave는 DeFi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탈중앙화 대출 및 차입의 표준을 정립한 선구자입니다.

1.1. Aave의 탄생 배경과 철학: '문제 정의'와 '비전’

Aave는 기존 금융의 비효율성과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탄생했습니다.

  • 문제 정의:
    • 비효율적인 중개: 기존 은행 대출은 느리고, 복잡한 서류 절차가 필요하며, 중개 수수료가 비쌉니다.
    • 접근성 차별: 신용 등급, 국적 등에 따라 금융 서비스 이용에 차별이 존재합니다.
  • 비전: 국경 없는, 무허가(Permissionless) 금융 시스템 구축입니다. 누구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투명하게 자산을 빌려주거나 빌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Aave의 핵심 철학입니다.

1.2. 핵심 구조 1: Aave 블록체인의 작동 원리 (유동성 풀과 금리)

Aave는 유동성 풀(Liquidity Pool)이라는 혁신적인 구조를 통해 작동합니다.

  • 유동성 풀: 사용자들이 빌려주고 싶은 자산(예: ETH, USDC)을 풀에 예치하면, 이 풀은 대출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거대한 자금 창고가 됩니다.
  • 작동 방식:
    1. 예치자 (Lenders): 자산을 풀에 예치하고, 그 대가로 이자를 받습니다.
    2. 차입자 (Borrowers): 자신의 암호화폐를 담보로 제공하고, 풀에서 원하는 자산을 빌려 이자를 지불합니다.
  • 금리 결정: Aave는 알고리즘을 통해 풀에 남아있는 자금의 양(유동성)에 따라 대출 및 차입 금리를 실시간으로 자동 결정합니다. 풀의 유동성이 낮아지면 금리가 높아져 예치를 유도하고 차입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균형을 맞춥니다.

1.3. 핵심 구조 2: Aave의 가장 큰 혁신 기술 (플래시 론과 거버넌스)

Aave는 단순한 대출을 넘어, 디파이의 기능을 혁신하는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 플래시 론 (Flash Loans): 담보 없이 자산을 빌릴 수 있게 해주는 획기적인 기능입니다. 단, 빌린 자산을 단 하나의 블록(트랜잭션) 내에서 즉시 상환해야 합니다. 이는 주로 차익 거래(Arbitrage)담보 교체 등 복잡한 디파이 전략에 활용되며, Aave가 DeFi 빌딩 블록으로서의 역할을 공고히 했습니다.
  • 탈중앙화 거버넌스: Aave 토큰(AAVE) 보유자들은 프로토콜의 중요한 정책 결정(예: 새로운 담보 유형 승인, 금리 모델 변경)에 직접 투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이는 Aave가 민간 기업의 통제에서 벗어난 진정한 탈중앙화 조직(DAO)으로 기능하게 하는 핵심 동력입니다.

1.4. Aave가 만드는 세상: 생태계와 미래 비전

Aave는 DeFi 시장의 핵심 인프라로서 금융 접근성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 생태계 확장: Aave는 현재 이더리움 메인넷 외에도 폴리곤, 아비트럼, 아발란체 등 다양한 레이어 2 및 L1 체인에 배포되어 수십억 달러의 유동성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실제 사건 인용: 2024년 2월, Aave V3의 '리스크 파라미터 업데이트'
    • 사건 개요: Aave 커뮤니티는 2024년 2월,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하여 담보 비율 및 청산 임계값을 조정하는 대규모 리스크 파라미터 업데이트'**를 DAO 투표를 통해 성공적으로 통과시켰습니다.
    • 사건의 맥락 및 결과: 이처럼 수백억 달러의 가치가 걸린 민감한 정책 결정이 중앙 기관 없이 커뮤니티 투표만으로 투명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은, 탈중앙화 금융이 제도권 금융만큼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음을 입증한 중요한 사례입니다.
  • 미래 비전: Aave는 '실물 자산(RWA, Real World Assets) 토큰화'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며, 실제 부동산, 채권 등을 담보로 블록체인 대출을 제공하는 미래 금융의 교두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두 번째 혁명: 웹 3.0 게임 및 메타버스의 선두주자, [Axie Infinity]

웹 3.0을 대중에게 가장 친숙하게 만든 분야는 바로 'P2E(Play-to-Earn)' 개념을 정립한 게임 분야입니다. 그 선두에는 Axie Infinity가 있습니다.

2.1. Axie Infinity의 탄생 배경과 철학: '문제 정의'와 '비전’

Axie Infinity는 게임 내 자산 소유권의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 문제 정의:
    • 중앙화된 게임 자산: 기존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아무리 시간과 돈을 투자해도, 게임 내 아이템이나 캐릭터는 결국 게임 회사 소유였습니다. 회사가 서비스를 종료하면 모든 것이 사라집니다.
    • 시간 투자의 비보상: 플레이어의 시간과 노력이 현실 경제적 가치로 직접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 비전: 플레이어가 소유하고 경제 활동을 하는 디지털 국가를 만드는 것입니다.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기는 동시에 실제 돈을 벌고 게임의 미래를 결정하는 웹 3.0의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했습니다.

2.2. 핵심 구조 1: Axie Infinity 블록체인의 작동 원리 (이중 토큰 경제)

Axie Infinity는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위해 이중 토큰 모델을 사용합니다.

  • AXS (Axie Infinity Shards): 거버넌스 및 가치 저장 토큰입니다. Axie 세계의 부동산/금과 같은 역할을 하며, 보유자에게 투표권을 부여합니다.
  • SLP (Smooth Love Potion): 유틸리티 및 인게임 화폐입니다. Axie 게임을 플레이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새로운 Axie를 번식(Breeding)시키는 데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마치 게임 내 경험치/재화와 같습니다.)
  • 작동 방식: 이 이중 토큰 구조는 AXS는 장기적 가치 축적을 담당하고, SLP는 게임 내 생태계의 순환을 담당하게 하여, 지속 가능한 경제 구조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2.3. 핵심 구조 2: Axie Infinity의 가장 큰 혁신 기술 (Ronin 사이드체인)

Axie Infinity가 대규모 흥행을 이룰 수 있었던 결정적인 기술은 전용 사이드체인의 구축이었습니다.

  • 문제: 이더리움 메인넷의 느린 속도와 비싼 가스비로는 수백만 명이 동시에 플레이하는 게임을 운영할 수 없습니다.
  • Ronin 사이드체인: Axie Infinity는 이더리움과 별도로 자체적인 Ronin(로닌)이라는 사이드체인을 구축했습니다. 로닌은 압도적으로 빠른 속도와 거의 0에 가까운 수수료로 게임 내 모든 거래(아이템 구매, SLP 획득 등)를 처리합니다.
  • 혁신: 이로써 플레이어들은 수수료 부담 없이 수시로 자산을 거래하고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P2E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한 결정적인 기술적 혁신으로 평가받습니다.

2.4. Axie Infinity가 만드는 세상: 생태계와 미래 비전

Axie Infinity는 P2E 모델의 성공과 실패를 동시에 보여주며 웹 3.0 게임의 교과서가 되었습니다.

  • 주요 사건: Ronin Bridge 해킹 사건 (2022년 3월)
    • 사건 개요: 2022년 3월, Axie Infinity의 자산을 이더리움과 연결하는 Ronin 브릿지에서 6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당시 기준)가 해킹당하는 대규모 보안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 사건의 맥락 및 결과: 이 사건은 L2나 사이드체인의 보안 취약성이 얼마나 치명적일 수 있는지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다만, Axie Infinity 팀은 해킹 자금을 복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한편, 시스템을 재정비하여 게임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철학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미래 비전: Axie Infinity는 단순한 게임을 넘어, Lunacia(루나시아)라는 디지털 토지 기반의 메타버스를 구축하여 사용자들에게 더 깊은 소유권과 경제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디지털 국가로 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 세 번째 혁명: 분산형 인프라(DePIN)의 새로운 파도, [Filecoin]

웹 3.0 시대에는 데이터 저장 방식 역시 탈중앙화되어야 합니다. DePIN(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s)은 물리적 인프라(서버, 네트워크, 센서 등)를 블록체인을 통해 분산화하는 분야이며, Filecoin은 이 분야의 선구자인 '분산형 스토리지' 프로젝트입니다.

3.1. Filecoin의 탄생 배경과 철학: '문제 정의'와 '비전’

Filecoin은 데이터 저장 시장의 독점과 비효율성을 해소하고자 탄생했습니다.

  • 문제 정의:
    • 중앙화된 데이터 독점: 아마존(AWS), 구글 클라우드와 같은 거대 기업들이 전 세계 데이터 저장 시장을 독점하여 비용이 비싸지고 검열의 위험이 있습니다.
    • 비효율적인 자원 활용: 전 세계에 남아도는 하드 드라이브 저장 공간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비전: 인류의 모든 정보를 분산화하고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남는 저장 공간을 가진 사람(공급자)과 데이터 저장이 필요한 사람(수요자)을 연결하는 글로벌 저장소 마켓플레이스를 만드는 것이 핵심 철학입니다.

3.2. 핵심 구조 1: Filecoin 블록체인의 작동 원리 (저장 증명)

Filecoin은 데이터를 저장했다는 것을 블록체인적으로 증명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 작동 방식:
    1. 데이터 저장 요청: 사용자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 요청을 보냅니다.
    2. 스토리지 마이너(공급자): 남는 하드 드라이브 공간을 제공하는 마이너들이 경쟁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대가로 Filecoin(FIL) 토큰을 보상으로 받습니다.
  • 혁신적인 증명 메커니즘:
    • 복제 증명 (Proof-of-Replication, PoRep): 마이너가 약속한 만큼의 공간에 데이터를 실제로 복제하여 저장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 시공간 증명 (Proof-of-Spacetime, PoSt): 마이너가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음을 증명합니다.

3.3. 핵심 구조 2: Filecoin의 가장 큰 혁신 기술 (FIL의 담보 역할)

Filecoin은 FIL 토큰을 단순한 보상을 넘어 담보로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 담보 예치: 스토리지 마이너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상당량의 FIL 토큰을 담보로 예치해야 합니다.
  • 페널티 (Slashing): 만약 마이너가 데이터 저장 약속을 지키지 않거나, 데이터를 잃어버릴 경우, 예치했던 FIL 담보금이 몰수됩니다.
  • 혁신: 이 경제적 페널티 메커니즘 덕분에 마이너들은 정직하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할 강력한 동기를 갖게 되며, 이는 아마존 AWS만큼 신뢰할 수 있는 분산형 스토리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반이 됩니다.

3.4. Filecoin이 만드는 세상: 생태계와 미래 비전

Filecoin은 웹 3.0 인프라의 중추를 담당하며 새로운 분산형 인터넷을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 생태계 확장: Filecoin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라는 분산형 인터넷 프로토콜과 통합되어, NFT의 메타데이터, 웹 3.0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 데이터 등 영구적인 데이터 저장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미래 비전: Filecoin은 단순한 파일 저장소를 넘어, 분산형 컴퓨팅(Compute Over Data) 기능까지 확장하여 저장된 데이터 위에서 직접 연산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합니다. 이는 웹 3.0 시대의 AWS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DePIN 분야의 엄청난 잠재력을 상징합니다.

 

결론: 웹 3.0은 '소유'와 '참여'의 경제

오늘 우리는 DeFi(Aave), Gaming/Metaverse(Axie Infinity), DePIN(Filecoin)이라는 웹 3.0의 핵심 축을 담당하는 세 가지 프로젝트를 심도 있게 분석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들의 공통점은 **'중앙화된 권한을 분산시키고, 사용자에게 소유권과 경제적 보상을 돌려준다'**는 웹 3.0의 근본 철학을 기술적으로 구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웹 3.0은 단순한 기술의 진화가 아니라, 우리가 인터넷에서 활동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 전체를 바꾸는 혁명입니다. 지금부터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이 새로운 경제의 미래를 결정할 것입니다.


[Q&A]

Q1: Axie Infinity의 SLP 같은 P2E 토큰의 가격이 폭락하면 게임 경제는 어떻게 되나요?

A1: 경제 시스템이 위험해집니다. Axie Infinity의 SLP 가격이 2021년 고점 대비 크게 하락했던 사례에서 보았듯이, 인플레이션을 통제하지 못하면 신규 진입자의 수익성이 악화되어 게임 경제의 순환이 깨집니다. 대부분의 P2E 프로젝트는 현재 SLP 소각처 확대, 게임 난이도 조정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토크노믹스를 구축하는 것을 가장 큰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Q2: Filecoin 같은 분산형 스토리지가 AWS 같은 중앙화 클라우드보다 실제로 더 싼가요?

A2: 대체로 더 저렴합니다. Filecoin 네트워크는 전 세계의 미사용 저장 공간을 활용하고 경쟁적인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아마존(AWS) 같은 대기업의 마진이 포함된 서비스보다 훨씬 낮은 가격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접근 속도나 특정 기능에서는 아직 중앙화된 클라우드 서비스가 우위를 점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Q3: Aave 같은 DeFi 프로젝트가 중앙화 거래소보다 더 안전하다고 볼 수 있나요?

A3: 보안의 성격이 다릅니다. Aave는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에 의해 작동하며, 제 3자의 개입 없이 투명합니다. 반면, 중앙화 거래소는 인간의 신뢰와 관리 시스템에 의존합니다. Aave의 경우 코드가 완벽하다면 해킹 위험이 없지만, 코드 자체에 버그가 있을 경우 대규모 자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인간 리스크는 낮고 코드 리스크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