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복잡한 코인 주소는 이제 그만!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

by useful-info-hub 2025. 9. 9.

복잡한 코인 주소는 이제 그만!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

 

안녕하세요, 블록체인 기술에 깊은 관심을 가진 블로거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가장 어려워하는 암호화폐의 '주소' 문제에 대한 아주 신선한 해결책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혹시 친구에게 코인을 보낼 때마다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없나요? "아, 이 복잡한 주소... 한 글자라도 틀리면 큰일인데..." 왠지 모를 불안감에 몇 번이고 주소를 확인하고,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소액을 먼저 보내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죠. 마치 은행 계좌번호가 0x9876...처럼 42자리나 되는 숫자와 알파벳의 조합이라면 얼마나 불편할까요?

 

오늘은 이 불편함을 깔끔하게 해결해 줄 혁신적인 기술, ‘ENS(이더리움 네임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ENS는 단순히 주소를 간단하게 바꾸는 것을 넘어, 여러분의 디지털 정체성을 만들어주는 새로운 문법입니다. ENS가 도대체 무엇이며, 어떻게 우리의 삶을 바꾸게 될지 함께 파헤쳐 보겠습니다.

 

1. ENS, 블록체인의 ‘인터넷 주소’를 만들다

ENS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인터넷의 주소 체계(DNS)'를 떠올리는 것입니다.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실제로는 '172.217.17.142'와 같은 복잡한 IP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 복잡한 주소 대신 'https://www.google.com/' 이라는 쉽고 직관적인 이름을 사용합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DNS(Domain Name System) 덕분입니다. DNS는 복잡한 IP 주소를 쉬운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ENS는 이 개념을 블록체인에 그대로 적용한 서비스입니다.

  • 복잡한 이더리움 지갑 주소: 0x9876543210ABCDEF...
  • 간단한 ENS 도메인: myname.eth

ENS를 사용하면 더 이상 길고 복잡한 주소를 복사-붙여넣기 할 필요가 없습니다. 마치 친구의 코인 지갑 주소를 friend.eth라고 저장해두고, 그 이름으로 코인을 보내면 자동으로 해당 지갑 주소로 연결되는 것입니다. 송금 오류의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2. ENS는 단순히 주소만 간단하게 바꾸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ENS는 단순한 지갑 주소 변환 서비스를 넘어, 우리 삶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 NFT(대체 불가능 토큰)로서의 가치

ENS 도메인은 세상에 단 하나뿐인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의 형태를 띱니다. 여러분이 myname.eth라는 도메인을 등록하면, 이 도메인에 대한 유일한 소유권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소유권은 NFT의 형태로 블록체인에 영원히 기록됩니다. 이 때문에 ENS 도메인도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활발하게 거래되며, 일부 유명 도메인은 엄청난 가격에 거래되기도 합니다. 2022년 ENS가 공식 트위터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000.eth 도메인은 30만 ETH(당시 기준 약 10억 원 이상)에 판매되었으며, 유명 기업들이 브랜드 보호를 위해 자사의 이름을 선점하는 사례도 많습니다.

(2) 하나의 이름으로 여러 주소 연결

ENS는 하나의 .eth 이름 아래에 여러 종류의 가상화폐 지갑 주소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yname.eth라는 이름에 이더리움 주소, 비트코인 주소, 폴리곤 주소 등을 모두 연결해 둘 수 있습니다. 이제 친구에게 코인을 받을 때, "비트코인 주소 보내줘"라고 말할 필요 없이, "그냥 myname.eth로 보내줘"라고 말하면 되는 것이죠.

(3) 탈중앙화된 디지털 신분증

ENS는 단순한 지갑 주소를 넘어 나의 디지털 정체성이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myname.eth 도메인에 자신의 트위터 계정, 이메일, 웹사이트 등 다양한 정보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3.0 환경에서 SNS에 접속하거나 커뮤니티에 참여할 때, 복잡한 지갑 주소를 입력하는 대신 myname.eth라는 단 한마디로 내 신분을 증명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중앙화된 기업에 종속되지 않는 '나만의 탈중앙화된 신원'을 구축하는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3. ENS 도메인, 어떻게 만들고 관리하나요?

ENS 도메인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과정은 매우 간단합니다.

1단계: ENS 공식 웹사이트 방문

우선 ENS의 공식 웹사이트(app.ens.domains)에 접속합니다. 웹사이트가 아닌 다른 곳에서 ENS를 등록하면 사기일 가능성이 있으니, 항상 공식 웹사이트 주소를 확인해야 합니다.

2단계: 지갑 연결

웹사이트에 접속한 뒤, 여러분의 개인 지갑(예: 메타마스크)을 연결합니다. 이더리움 지갑이 ENS 도메인의 소유권을 증명하고 관리하는 도구가 됩니다.

3단계: 원하는 도메인 검색

원하는 .eth 도메인 이름을 검색창에 입력합니다. 다른 사람이 이미 등록한 이름은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 가능한 이름은 등록할 수 있습니다.

4단계: 도메인 등록 및 비용 지불

도메인 이름의 길이에 따라 연간 등록 비용이 다르게 책정됩니다. 3~4글자처럼 짧은 이름은 비싸고, 5글자 이상의 이름은 저렴합니다. 등록 비용과 네트워크 수수료인 가스비(Gas Fee)를 지불하면, 여러분의 ENS 도메인이 지갑에 NFT 형태로 들어오게 됩니다.

5. ENS,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꿀까요?

지금은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로 사용되는 ENS이지만, 미래에는 우리 삶의 다양한 부분에 스며들 것입니다.

  • 웹사이트 주소: ENS는 탈중앙화된 웹사이트 주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myname.eth라는 주소를 통해 중앙 서버가 아닌, 탈중앙화된 웹사이트에 바로 접속하게 되는 거죠.
  • 간편한 결제: 온라인 쇼핑몰에서 결제할 때마다 복잡한 카드 번호를 입력하는 대신, myname.eth와 같은 간단한 이름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시대가 올 수도 있습니다.
  • 보안 강화: 복잡한 주소를 잘못 입력해 발생하는 오송금 사고가 사라지면서, 블록체인 생태계의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ENS는 단순히 복잡한 주소를 간단하게 바꾸는 기술이 아닙니다. ENS는 복잡하고 어려운 블록체인 세계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공간'으로 바꾸는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앞으로 ENS가 만들어갈 더 편리하고 안전한 웹3.0 시대를 기대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결론: ENS는 단순한 주소가 아닌, ‘Web3의 첫인상’입니다

ENS는 마치 우리가 인터넷을 처음 접했을 때, 복잡한 IP 주소가 아닌 google.com과 같은 쉬운 도메인 이름으로 인터넷을 이해하게 된 것과 같습니다. 블록체인과 웹3.0이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사용성’ 문제를 ENS가 해결해 주고 있습니다. 복잡한 지갑 주소는 이제 과거의 유물이 되고, @yourname.eth와 같은 간편하고 직관적인 이름이 새로운 디지털 신분증으로 자리 잡게 될 것입니다.


[Q&A]

Q1: ENS는 이더리움만 지원하나요?

A1: ENS는 이더리움 기반의 서비스이지만, 다른 종류의 가상화폐 주소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ENS 공식 웹사이트에서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도지코인 등 다양한 코인의 지갑 주소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ENS는 이더리움 생태계뿐만 아니라, 전체 암호화폐 생태계의 '통합 주소'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Q2: ENS 도메인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A2: ENS 도메인의 가격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는 등록 및 갱신 비용으로, 이름의 길이가 짧을수록 비용이 비싸집니다. 3글자 이름은 연간 수백 달러, 5글자 이상은 연간 수 달러 수준입니다. 둘째는 2차 시장에서의 거래 가격입니다. 짧고 희소성이 높은 이름이나 유명 브랜드 이름, 상징적인 이름은 2차 시장에서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되기도 합니다.

 

Q3: ENS 도메인을 잃어버릴 수도 있나요?

A3: 네, 가능합니다. ENS 도메인은 NFT 형태이므로, 도메인을 보관하는 개인 지갑의 개인 키나 시드 구문을 잃어버리면 도메인에 대한 소유권을 영원히 상실하게 됩니다. 또한, 매년 갱신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면 도메인의 소유권이 만료되어 다른 사람이 등록할 수 있게 됩니다.